지구 밖의 외계 행성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그 중에서도 지구의 위성은 달로서 지구의 인력인 힘에 의해 끌려 자전대로 움직이며 지구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그런데 달이라는 행성 외에도 인공적으로 발사한 위성이 우리 지구 주위를 돌고 있습니다.
우리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그 쓰임새를 다하기 위해서 지금 이 시각에도 많은 전문가들은 인공위성 원리에 대해 분석하고 파악하여 더 나은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공위성의 원리는 만유인력의 법칙을 기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지만 지구에서 물체를 떨어뜨리면 무조건 아래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면 됩니다.
예를 들어 사과나무에 사과가 붙어 있는데 사과가 익기 시작하면서 하나둘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위로 올라가지 않고 무조건 땅 밑으로 사과가 떨어지는 것을 만유인력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이때사과의중량치는정해져있지만익어서떨어지는속도는중량치에상관없이빠른속도로떨어지게됩니다.
이것을 우리는 물체의 낙하가속도는 떨어지는 물체의 질량값에 관계없다고 합니다.
이 원칙은 지구 대기권 내에서 포함되는 이야기로 대기 밖으로 멀어질수록 낙하가속도는 점점 감소하게 된다.
인공위성 원리는 지구의 중력장을 이해하면 훨씬 이해하기 쉽습니다.
지구 중력장에 서장은 일종의 공간이라는 뜻으로 어떤 힘이 작용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즉 중력장은 중력이 작용하는 공간으로 지구 안에서 물체가 중량값과 상관관계가 가속도에만 힘을 실어주지만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 우주에서는 가속도가 작아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인공위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인류 역사에서 가장 먼저 로켓이 개발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중 독일에서 만들어졌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로켓 기술은 소련에 의해 점진적인 발전을 이루어 1958년 처음으로 인공위성을 지구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하게 됩니다.
이후 미국과 소련도 인공위성 원리에 대해 잇따라 연구개발을 추진하게 되면서
마침내 1968년 미국은 아폴로 11호라는 유인 우주선을 달에 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과학 실험, 군사 정찰, 통신등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서 지구 밖으로 보내지고 있습니다.
또, 우주 탐사나 기상 관측에도 그 역할을 완수해 인류의 문화 생활에 크게 공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명을 다하고 우주 쓰레기가 되면 지구 주변을 돌며 우주선과 충돌하거나 주변 인공물과 마찰을 일으켜 문제를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앞으로 인류가 맡을 숙제로는 인공위성 원리를 더욱 세밀하게 분석해 우주로 내보내지 않고도 지구 내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지 살펴봐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