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03 현대카드 스토리지 DRIFT 전시(무료관람 팁)

전시와 관련해 유튜브에서 최근 시작된 전시 중에 아주 참신한 전시가 있다고 추천해줘서 예매하게 된 현대카드 스토리지 전시. 네덜란드 아티스트 듀오 드리프트의 아시아 최초 전시라고 한다. 처음에는 드리프트가 전시 타이틀인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아티스트의 활동명이었다.

현대카드 스토리지 전시 예매 방법

제 경우는 현대 카드를 쓰고 있으니 현대 카드가 운영하는 dive앱을 통해서 예약했다.1. 기본 입장료는 성인 기준 5000원.2. 현대 카드로 결제하면 4000원. 3. 그런데 현대 카드 dive앱에 3차례 출석 체크를 하면 무료로 관람 티켓을 증정하므로 거기서 그들까지는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그래서 결과적으로 나는 현대 카드 스토리지 전시를 무료로 관람하게 됐다><무료로 관람했음에도 불구하고 올해 본 전시 중에 제일 제 감성을 전시회이므로 만족했다.

현대카드 아트 라이브러리와 비닐&플라스틱이 붙어 있는데 드리프트 전시를 보려면 그 사이에 있는 내려가는 계단으로 가야 한다. 계단을 내려가다 보면 왼쪽에 ‘스토리지’라고 적힌 네온사인이 있다.

티켓을 발행 받으면 바로 뒤에 적힌 문구.이 문장에서 내 마음을 울린 것이 저는 평소 천연 재료와 화학 물질을 구분하는 것에 대해서 의문을 품고 의미 없는 상술이라고 생각하기도 했다.음식이나 생활 용품 등을 판매하는 마케팅에서 천연 유래 재료나 천연 소재, 천연 소재로 만들었다며 네이처나 에코 같은 말을 하는 것입니다.따지고 보면 석탄, 석유, LNG, 또 우라늄까지 우리가 자연에서 얻은 천연 재료이다.물론 드리프트의 말이 저와 정확히 같지는 않겠지만 결국 우리의 주변을 에워싸고 있는 모든 것은(그것이 인간의 손을 얼마나 겪었는지에 상관 없이 이 지구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 공감됬다.

앞서 본 문장처럼 우리 주변을 둘러싼 모든 사물을 그 소재와 구성에 따라 표현했는데, 1대1대2 비율의 직사각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이 작품들은 materialism이라는 연작이었지만, 중앙에 크게 전시된 작품들은 정확히 어떤 것을 분해해봤는지 알 수 없었다.. 벽면에 전시된 작품들은 아이폰, 바비인형과 같은 공산품부터 스타벅스 커피, 신라면과 같은 식품들이 있어 흥미로웠다.

바비인형(이었던 것)

iPhone4s(였던 것)

지금까지의 어느 전시회보다 설명 카드를 유심히 보게 되는 작품이었다. 아이폰의 해체된 부분을 보면 유리, 스틸, PC 소재부터 금까지 소재 함량 순으로 쭉 나열된 것이 흥미로웠다. 이런게 진짜 해체주의?ㅋㅋㅋ

스타벅스 커피와 빅 맥이 조금 쓸쓸한 것은 스타벅스 커피의 구성 성분 중 가장 큰 건물이지만,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이 종이었다는 것이다.일회용품 사용의 심각성을 공감했다.그리고 아주 세심한 끝에 그룹까지 나오는 것이 재미 있었다.빅 맥은 빵과 감자 튀김을 찌푸리고 있어서 좀 식욕이 떨어졌다^^… 그렇긴다음에 나오는 신라의 면에서도 비슷한 것을 느끼지만 이 물질 주의 연작에서 어느 정도까지 해체할지에 대한 기준점을 어떻게 취했는지 의문이 생겼다.빅 맥이 단순히”빵(bread)”로 적어 놓은 데, 그걸 더 해체되면 탄수화물과 단백질, 소금, 지방~ 이렇게 풀릴 것이 있는데 왜 드리프트는 빵까지 해체하는가?

한국을 위한 팬서비스로 만든 게 틀림없는 신라면. 신라면 국물 포장이 네모나게 구겨져 전시되어 있는 모습이 재미있었다. 의외로 면은 저렇게 말아놔도 꽤 질서정연한 느낌이다. 왜 하필이면 모든 물건을 1대1대2의 사각기둥으로 표현했는지 궁금하다.

그리고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아름다웠던 작품. 제목 그대로 뭔가 수줍은 빛이었다.전시장에 처음 들어섰을 때 가장 먼저 보이는 작품이 마테어리즘이긴 하지만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이 작품이다. 우선 이 작품은 함께 어우러진 음악이 백미이기 때문에 반드시 영상으로 감상해야 한다.

꽃 여닫기 운동에서 영감을 얻어 제작한 것이라고 한다. 여닫기 운동이란 꽃이 아침이 되면 피고 밤이 되면 지는 운동이다.shylight의 기계장치는 mm 단위까지 세밀하게 조정됐으며 이 꽃잎은 실크 레이저 커팅으로 섬세하게 재단한 뒤 손바느질을 통해 완성됐다고 한다.

처음 설명을 들었을 때는 꽃잎인 줄 알았는데 어느 순간 클래식 음악과 함께 어우러지니 꽃잎이 마치 발레리나의 띠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그런데 제가 딱 이 생각을 했을 때 오디오 가이드에서 이 작품이 클래식 음악과 어우러지면 전시장이 한순간에 현대무용단의 무대로 바뀐다는 설명이 나와 뭔가 정답을 맞춘 듯 뿌듯했다.

자연과 기술과 예술의 집약체. 이 세 가지가 만나는 중립지대 같은 작품이었다.

전시장 한쪽에 어떻게 이 작품을 제작하게 됐는지, 초기 스케치부터 제작 과정, 그리고 암스테르담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다른 작품까지 보이고 있지만 확실히 암스테르담 박물관에 전시하는 것은 영구 소장 제품으로서 제안된 탓인지, 훨씬 웅장하고 멋진 느낌이 있었다.그러나 그곳은 박물관의 계단 자체도 보물의 장소니까, 단순한 전시장과 일방적인 비교는 어렵다.물론 멀리 있어서 영상으로만 보면 암스테르담 박물관 shy light보다 내 눈 앞의 현대 카드 스토리지 shy light가 더 멋있었어

이 작품에 넋이 나가 계속 보고 있노라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현대카드 드리프트 전시회를 보러 온 보람이 느껴졌다…ㅠㅠshy light는 계단을 내려가면서도 볼 수 있는데 한 계단 내려가면 꽃잎 아래 부분을 정확히 볼 수 있어!

지하로 내려가면 어떤 작품은 amplitude.정교한 기계적 움직임으로 예술을 표현하는 것이 국립현대미술관 최우람 작가의 작품과 비슷하다고 생각했다.아름답게 비행하는 듯한 20쌍의 진공관이 유기적으로 연결돼 있다고 느껴 이 공간을 가득 채우는 듯했다.확실히 진공관과 진공관 사이는 비어 있는데, 그 사이에 보이지 않는 커튼으로 가득 차 있는 느낌.

어떻게 보면 척추에 붙어 있는 갈비뼈 같기도 하다. 비행하고 싶은 염원이니까 조류의 신체구조를 흉내냈으니 그럴 수밖에 없을까 싶기도 하고.

이 작품도 공간에 흐르는 음악과 잘 어우러졌다.

이 작품도 공간에 흐르는 음악과 잘 어우러졌다.

앰프 리츄ー도을 지나 다음에 도착하면 상당히 어두운 공간에 작품이 밝게 빛나고 있다.작품 제목은 “fragile future”이지만, 민들레 홀씨에서 전등 갓을 만든 것 같아서 아름다웠다.잘 민들레 홀씨는 희망과 밝은 미래를 나타내는 상징으로 사용되지만 그만큼 매우 약한 짓밟히는 존재이다.그런데 거기에 전구를 넣어 불을 켜자 어둠 속에서도 빛나는 희망이라는 메시지가 더욱 강조되어 알려졌다.

작품이 입체적이고 큰 공간을 차지하고 있지만 작품을 만들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한다. 자연의 민들레 홀씨를 모아 오랜 시간 건조시키고 이를 하나하나 고정시켜 전구를 안에 끼우는 작업을 손으로 했다고 한다.당연히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자세히 보면 이런 형태로 되어 있는데, 구리로 만들어진 프레임 안에 들어 있어서 회로기판 느낌이 난다. 물론 이것은 단지 내 느낌일 뿐이지 드리프트 측이 공식적으로 말한 것은 아니다

자세히 관찰하다가 발견했는데, 이렇게 회로 쪽 위에 드리프트와 영어로 인쇄되어 있다. 그리고 민들레 홀씨가 완전히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전시를 보다 보면 한 두 개 정도는 날면서 떨어지는 것을 발견했어. ㅠ 강아지들 털을 손질하는 것처럼 여름이 되면 상하지는 않지?

다시 계단으로 올라가 왼쪽으로 돌면 작품 제작 의도부터 제작 과정까지 담은 인터뷰 영상과 스케치가 있는데, 이를 보고 이 사람들을 화학자로 정의해야 할지 예술가로 정의해야 할지 궁금했다. 물론 예술가이자 화학자이자 공학자였지만, 이렇게 접착제 0.35g에 그 밀도까지 꼼꼼히 기록해놓은 걸 보면 이런 생각이 안 들 수가 없다.

아마 신라면 마테리어리즘의 프로토타입 ㅋㅋㅋ

그리고 실크의 꽃잎.육안으로 멀리서 보면, 단색의 조명이 펼쳐지면서 자연스러운 그라데이션이 있다고 느꼈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실크 자체에도 그라데이션이 담겼을까?다시 봐도 조명 불빛 탓인지 아니면 실크 보자기 자체에 염색되고 있는지 잘 모르겠어.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풍부했던 꽃잎.그리고 mm단위로 조절했다는 도르래의 기계.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여러 움직임을 보이게 했다고 한다.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는 인터뷰의 코멘트도 언뜻 본 것 같지만 과연 진짜인가?

이것은 fragile future 제작 과정. 입체적인 작품인 만큼 단순히 쌓은 것이 아니라 미리 나무 큐브를 통해 작품의 구조를 세밀하게 계획한 것이 돋보였다.

그리고 마지막에 가면 내 인스타그램에 전체 공개 게시물로 인증 샷을 올리면 그것을 키오스크를 통해서 인화하고 주는 이벤트 소리를 진행한다.나도 인증 샷 하나 드리고 인화할><현대 카드 스토리지 스티커도 멋지고 하나씩 가져왔다 w이런 스티커 벌써 집에 실린 것에 따로 어디에 붙여야 할지 몰라서 붙이지 않고 모으고 있을 뿐이다 ㅠㅜㅋㅋㅋ 50 50m NAVER Corp.더 본다/OpenStreetMap지도 데이터 x NAVER Corp./OpenStreetMap지도콘트롤러 범례 부동산가읍 면 시, 군, 구시, 길 국가

현대카드스토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 248B2

그리고 현대카드 스토리지까지 갔는데 그냥 가기는 아까우니까 이태원 맛집 하나 소개할게.

[이태원] 레드브릭 비스트로 이태원에서 가장 좋아하는 레스토랑. ㄱㅇ과 주기적으로 쿨타임이 시작될 때마다 방문한다. 이번에는 새로운 메일… m.blog.naver.com

요기입니다. ㅎㅅㅎ 루프 톱에 분위기가 아주 좋은 미식가라서, 이태원과 데이트로 추천><!이태원 데이트현대 카드 스토리지 드리프트 현대 카드 전시이태원 전시 한남동 전시 드리프트 전시 drift전시 drift 3월 전시4월 전시 현대 카드 전시 요령drift전쟁의 요령, 현대 카드의 요령, 한남동 데이트, 이태원과 맛집, 한남동의 맛집, 한강 진 데이트 한강 진 볼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