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북 프로그램 삭제 어렵지 않은 3가지 방법이야

최근 지름의 신이 다시 찾아왔다.잘 쓰던 삼성이 아니라 애플이 원했던 것.특유의 로고도 독특하고 깨끗하고, iPhone과 연동하고 잘 쓰는 것 같았다.처음에는 어려워서 쓸 수 없다는 평가가 있었지만 기계치의 나에게 무리일까라는 고민이 생겼다.게다가 윈도우는 없다니, 더 생각이 많아졌다.가격도 100만원을 훨씬 넘어 디스플레이가 깨지기 쉽다는 평가까지.일단 지인에게 빌려서 몇일 간 쓰고 보기로 했다.첫 이미지는 깔끔하고 예쁘다고 생각한다.인터넷하는 속도도 빠르고 iPad를 사용했던 나로서는 그다지 불편하지 않았어.에어 드롭에서 사진을 바로 이동할 수 있는 이점.간단한 업무 작업을 하는데 m1이 적당하다는 느낌마저 들었다.그러나 다시 반납한다면 MacBook프로그램의 삭제가 걸렸다.어떻게 해야 할지 찾고 보니 몇가지에 정리됬다.빠르고 쉽게 알아보러 가자.처음에 들어가기 전에 창문을 닫는 것은 이렇게 보고

보통 맥이 아닌 삼성, lg를 쓰는 사람들이 많을 거야. 기존에 사용하는 분들도 많고 익숙해서 사용하는 환경이라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애플은 조금 다르다. 적응하면 쉽지만 창문 하나 닫는 것도 망설일 수 있다. 어쩌나 했는데 전원을 켜고 새로 부팅할 때도 있었다. 아니면 다른 곳에서 검색해보고 쓰는 경우가 있었다. 시작한 이후로는 알 수 없었고 동시에 여러 개의 창이 켜져 있었다.

그럴 때는 맨 위 신호등을 찾는다. 적색, 황색, 녹색 각각 특징이 있다. 마우스를 대면 x표가 나오는 빨간색. 누르면 바로 창이 꺼진다. 그 다음으로 최소화, 최대로 키우는 순서로 되어 있다. 첫번째는 아이폰이랑 비슷해

이미 아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라면 익숙하다. 똑같이 해볼 수 있었어. 하단에서 어떤 식으로 해봤는지 확인해보자.

lanchpad에 들어가서 직접 앱을 삭제할 수 있다. 하단에 있는 빨간색 동그라미를 누르면 목록이 나타난다. 기본으로 세팅된 것도 있고 메신저, 유튜브가 새로 설치된 것도 보인다. 사용하지 않고 방치해 둔 앱은 없애야 용량을 확보할 수 있어.

마우스 왼쪽 버튼을 어느 부분에 길게 누르면 상단에 x표시가 된다. 그러면 흔들리는 부분을 볼 수 있다. 없애고 싶은 부분을 엑스를 누르면 사라진다. 하지만 안 될 수도 있다. 엑스 표시 안 나는 거 안 되는 거. 그럴 때는 다른 걸로 해봐야지. 두 번째 finder 들어가봐

사람 모양의 finder를 누르고 어플리케이션에 들어가면 내가 무심코 설치한 것이 보인다. 두 종류로 할 수 있는데 마우스 오른쪽을 누르고 휴지통으로 이동을 누른다. 아니면 원하는 부분을 빼고 하단 휴지통에 넣어준다.

그러면 맥북 프로그램을 삭제하거나 되살릴 수 있는 건. 휴지통에 들어가서 반납 또는 비우고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임시로 넣어 두었다가 다시 필요할 때 되돌리는 것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긴요하게 쓰이지만 확실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마지막이다. 마지막은 이 맥에 관해서 들어가서기본적으로 지울 수 있는 건 위에서부터 해봤어. 용량을 줄일 수 있는 건 여기 들어가는 게 확실히. 왼쪽 상단에 있는 사과 모양을 클릭한다. 그러면 리스트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처음을 누른다.어떤 화면이 뜨는데 저장공간 > 관리 들어간다. 얼마나 사용할 수 있고 저장 공간이 얼마나 남아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251gb라서 아직 여유가 있는 편이야.현재 어느 부분에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많은 양이 응용에 속해 있더라. 줄이기 위해서는 필요 없는 항목을 제거해야 한다. 문서나 기타 콘텐츠가 쌓여있더라.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할 수 있고, 사용하지 않는다면 클릭해서 없앤다. 잘 사용하지 않는데 다수가 사용하지 않는 것이었다. 정기적으로 들어가서 확인하고 지워줘야지. 그래야 오랫동안 잘 유지하고 사용할 수 있어.오늘은 3개로 알아봤어. 필요없다면 기간을 정해서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 그래도 전원을 켜고 바로 해보는 건 어떨까. 직접 해보니 빨리 지울 수 있는 건 길게 클릭해서 하는 방법, 완전히 해보는 건 마지막이 좋았다. 하고 나서는 청소한 기분도 들고 가벼워서 그런지 속도도 더 빨라지는 기분이다.오늘은 3개로 알아봤어. 필요없다면 기간을 정해서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아. 그래도 전원을 켜고 바로 해보는 건 어떨까. 직접 해보니 빨리 지울 수 있는 건 길게 클릭해서 하는 방법, 완전히 해보는 건 마지막이 좋았다. 하고 나서는 청소한 기분도 들고 가벼워서 그런지 속도도 더 빨라지는 기분이다.